암호화폐/용어

EIP1559, MaxPriorityFee와 MaxFeePerGas란 무엇인가?

anecdote 2024. 4. 5. 01:00

EIP1559, MaxPriorityFee와 MaxFeePerGas란 무엇인가?

 

EIP1559는 고정 수수료와 블록 사이즈의 유동성을 도입한 새로운 트랜잭션 가스 가격 메커니즘이다. 기존에는 가장 높은 가스비를 지불한 트랜잭션이 가장 먼저 처리될 가능성이 높은 시스템이었다. 하지만 이는 지나치게 높은 가격을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IP1559에서는 기본 수수료의 개념을 도입했다. 모든 트랜잭션은 블록에 포함되기 위해서 기본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이를 BaseFee라고 부른다. BaseFee는 블록 사이즈에 따라 달라지며 블록 사이즈는 트랜잭션의 수요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블록체인이 붐빌수록 BaseFee는 올라간다. 다만 다음 블록의 BaseFee는 이전 블록의 ±12.5% 안에서만 변화한다. 해당 수수료는 트랜잭션이 블록에 포함되면 모두 Burn 된다. 다른 트랜잭션보다 조금 더 빠르게 블록에 포함되고 싶은 트랜잭션은 마이너에게 별도의 팁을 지불하여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다. 이것이 Priority Fee이다. 이때 트랜잭션을 날리는 사용자가 지불할 의사가 있는 최대 팁이 Max Priority Fee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트랜잭션에서 지불하는 수수료는 BaseFee + Priority Fee가 된다. 다만 이 경우 BaseFee가 예상치 못하게 올라갈 경우 사용자가 생각한 것보다 수수료를 많이 내는 경우가 생긴다. 그래서 도입된 값이 MaxFeePerGas이다. 이는 사용자가 최대로 지불할 수수료를 뜻한다. 즉 BaseFee가 올라서 BaseFee + Max Priority Fee값이 커져도 MaxFeePerGas 이상으로 지불되지는 않는다.

'암호화폐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씨, Blast 체인 NFT 지원  (0) 2024.04.10
rollup이란?  (0) 2024.04.08
IBC란?  (2) 2024.04.03
DN-404란?  (0) 2024.04.01
RWA란?  (0) 2024.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