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암호화폐 363

STO란?

STO란? STO란 Security Token Offering의 약자로 기업이나 프로젝트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토큰 증권을 발행하는 것을 뜻한다. 기존 토큰을 활용하여 자금을 조달하던 ICO와는 다르게 STO는 법령에 따라 토큰이 발행, 거래되며 이에 따른 권리가 보증된다. 대한민국 역시 23년 2월 4일, STO 관련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기존 기업들은 은행 차입, 사채 또는 주식 발행을 통해 자금 조달을 했었는데 STO를 통해 새로운 방법으로 자금 조달을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STO 방식의 경우 기존 일정 심사를 통해 어느 정도 요건을 갖춰야 할 수 있는 IPO보다 간소화된 절차를 통해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 등을 통해 주주의 의결권을 행사하는 절차도 투명하게 진행할 수 있..

암호화폐/용어 2024.09.18

프라이빗키(private key)란?

프라이빗키(private key)란? 프라이빗 키는 지갑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키로 숫자와 영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라이빗 키를 사용하여 생성한 퍼블릭 키가 본인 지갑 주소가 된다. 프라이빗 키가 유출된 경우 모든 자산을 탈취당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프라이빗키는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어선 안되며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이 프라이빗키를 통해 서명이나 트랜잭션은 암호화되며 퍼블릭 키를 사용하여 정합성을 검증할 수 있다.

암호화폐/용어 2024.09.16

현선갭이란?

현선갭이란? 현선갭은 현물 가격과 선물 가격 사이의 차이를 뜻하는 용어이다. 주로 숏이 우세할 때 사람들이 헷징을 많이 하여 선물 가격이 낮게 형성되거나 거래량이 부족하여 발생하곤 한다. 이러한 현선갭을 활용하여 매매를 하는 방식이 현선갭 매매이다. 보통 현선갭은 거래소마다 조금씩 다른데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이 갭이 다시 맞춰지는 것을 기다려 수익을 내는 방식이다.

암호화폐/용어 2024.09.13

Uniswap, 투자자들에게 불법적으로 레버리지 암호화폐 거래를 제공한 혐의로 17만 5000달러의 벌금 부과

Uniswap, 투자자들에게 불법적으로 레버리지 암호화폐 거래를 제공한 혐의로 17만 5000달러의 벌금 부과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는 Uniswap Labs에 투자자들에게 불법적으로 레버리지 암호화폐 거래를 제공한 혐의로 17만 5000달러의 벌금을 부과하고 상품거래법을 위반하지 않겠다는 합의에 5일 도달했다고 한다. Uniswap은 BTC 2x Flexible Leverage Index, ETH 2x Flesible Leverage Index 등을 포함한 특정 토큰의 레버리지 거래를 중단한 상태이다. 이번 합의를 시작으로 Defi에 대한 규제가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암호화폐/소식 2024.09.09

모바일 EVM 지갑

모바일 EVM 지갑 1. Metamask 가장 유명한 EVM 지갑이다. 모바일의 경우 사용성이 그다지 좋지는 않은 편이다. 2. OKX wallet OKX 거래소에서 만든 Web3 지갑이다. Extension도 상당히 편하지만 모바일도 정말 잘 만들었다. EVM 뿐만 아니라 BTC, SOL 등 다양한 체인을 지원한다. 3. Trust wallet 데스크톱 Extension으로도 유명한 Trust wallet이다. 모바일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4. Uniswap wallet Defi로 유명한 Uniswap에서 만든 지갑이다. 지갑이라고 할 수 있을까 싶은 수준이다.  개인적으론 모바일의 경우 OKX wallet이 정말 편하다고 생각한다.

암호화폐/지갑 2024.09.06

트레저리(Treasury)란?

트레저리(Treasury)란? 트레저리란 DAO나 프로젝트 등의 자금이 보관되는 온체인 상의 풀을 뜻한다. 보통 스마트 컨트렉트로 짜여 있으며 트레저리에 보관된 자산은 거버넌스를 통해서만 집행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나 DAO는 자체 트레저리를 보유하고 있다. 트레저리는 프로젝트 수익 등을 통해 확보된다. 트레저리는 생태계 참여자에 대한 보상, 프로젝트 운영비, 토큰 바이백 등에 사용된다.

암호화폐/용어 2024.09.04

Opensea, SEC로부터 Wells notice 통지서 수령

Opensea, SEC로부터 Wells notice 통지서 수령 NFT 거래소인 Opensea 공동창립자는 Opensea가 SEC로부터 Wells notice 통지서를 수령했다고 밝혔다. Wells notice는 SEC가 잠재적으로 법 위반 혐의가 있다고 판단할 때 해당 기업이나 개인에게 발송하는 통지서이다. 해당 통지서를 수령 시 해당 기업이나 개인은 SEC의 조사 결과로 제기될 수 있는 소송이나 제재 등에 대해 미리 알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답변할 기회가 있다. Wells notice는 Opensea 뿐만 아니라 크리에이터와 아티스트도 받았다고 한다. Opensea는 SEC의 NFT를 표적으로 하는 규제에 반대하며 Wells notice를 받은 크리에이터와 아티스트들의 법률 비용에 500만 달러를 지..

암호화폐/소식 2024.09.02

거버넌스(Governance)란?

거버넌스(Governance)란? 거버넌스(Governance)란 공동체를 이루는 구성원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여 결정하는 체계를 말한다. 블록체인에서 거버넌스는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되는 규칙, 보상 등을 만들거나 폐기할지 결정하는 행위를 뜻하며 보통 이는 투표로 결정된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거버넌스 토큰인데 이는 주식에서 지분 개념과 비슷하다. 거버넌스 토큰의 지분율이 높아질수록 투표 시 영향력이 커지는 방식이다.

암호화폐/용어 2024.08.30

MRR이란?

MRR이란? MRR은 Monthly Recurring Revenue의 줄임말로 월간 반복 매출을 뜻한다. 주로 SaaS 등의 구독 비즈니스에서 월간 발생하는 매출을 보여주는 데 사용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이다. MRR에 12배를 곱하여 ARR (Anual Recurring Revenue)로 표현하기도 한다. MRR을 통해 반복되는 수익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좀 더 현명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암호화폐/용어 2024.08.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