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65

에드작이란?

에드작이란? 에드작은 에어드랍 작업의 줄임말로 에어드랍을 노리기 위해 하는 작업을 뜻한다. 특정 코인이나 NFT 에어드랍을 노리고 각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미션 등을 수행한다. 프로젝트마다 다르지만 보통 커뮤니티에 참여하거나 테스트넷 등에 참여하여 에어드랍을 획득할 수 있다. 하나의 계정을 열심히 하는 방법도 있지만 여러 계정을 돌려서 하는 방법도 있다. 이렇게 다계정을 사용하는 경우 프로젝트 팀에서 다계정을 잡는 경우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에드작의 경우 적은 시드를 사용하여 자본을 모을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작업이 반드시 수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명확한 단점도 존재한다. 처음 시드가 적은 분들이라면 비용이 적게드는 에드작을 통해 자본을 모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암호화폐/용어 2024.01.05

오르빗 브리지 8000만 달러 상당 자산 탈취

오르빗 브리지 8000만 달러 상당 자산 탈취 한국시간으로 1일 오전 6시경 오르빗 브리지 이더리움 볼트에서 약 8000만 달러의 자산이 탈취되는 일이 발생했다. BNB등의 다른 체인 볼트는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탈취로 인해 이더리움 볼트에서 브리지 된 o자산을 담보하는 네이티브 토큰이 부족하다보니 o자산 가치의 하락이 불가피하다. 탈취된 자산의 규모가 상당한만큼 앞으로 어떻게 일이 진행될지 알 수 없다. 다만 o자산 가치의 하락으로 인해 연쇄적인 청산이 일어나며 당분간은 변동성이 상당히 클 것으로 보인다.

암호화폐/소식 2024.01.03

CME GAP이란?

CME GAP이란? CME는 시카고 상품 거래소(Chicago Ercantile Exchange)를 뜻한다. CME GAP은 시카고 상품 거래소의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거래일 종가와 다음 거래일 시초가 사이의 가격 차이를 뜻한다. 해당 갭이 발생하는 이유는 비트코인 현물의 경우 24시간 거래되지만 선물 시장의 경우 평일에만 운영된다. 정확히는 Central Time 기준으로 금요일 오후 4시에 마감하여 일요일 오후 5시에 다시 오픈한다. 선물 시장이 휴장 하는 동안 비트코인 가격이 움직이면 갭이 생긴다. 보통 CME GAP은 채워지곤 했다. 단지 며칠, 몇 주가 걸릴 수도 있다는 것이 문제지만 항상 채워지곤 했다. 이러한 성질을 활용하여 매매관점으로 삼을 수 있다.

암호화폐/용어 2024.01.01

APR란?

APR란? APR이란 Annual Percentage Rate의 약자로 '연간 이율'을 뜻한다. 비슷한 개념으로 연 이자율을 뜻하는 Interest Rate가 있지만 APR과는 조금 다르다. 과거에 미국 은행들은 낮은 연 이자율을 홍보하며 대출을 받을 고객들을 유치하였다. 다만 연 이자율과는 별개로 가입 시 별도의 수수료를 요구했는데 이 수수료 때문에 낮은 연 이자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가 손해를 보는 일이 생기게 되었다. 그래서 미국 정부는 금융 소비자를 위한 법 (Trust in Lending Act)를 만들었다. 이 법은 은행에서 고객을 유치할 때 연 이자율뿐 아니라 각종 수수료 비용까지 포함하여 보여주도록 한 법인데 이때 각종 수수료 비용까지 포함하여 계산된 APR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출 수수료..

암호화폐/용어 2023.12.29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 1억 달러 투자 유치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 1억 달러 투자 유치 게임 업계 대기업인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에 1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밝혔다. 1억 달러의 투자금은 주로 운영 자금 확보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MMORPC 경험을 재정의하는 것이 목표다.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는 메이플스토리 IP를 활용한 MMORPC게임인 메이플스토리 N을 곧 선보일 예정이라고 한다.

암호화폐/소식 2023.12.27

다크풀(dark pool)이란?

다크풀(dark pool)이란? 다크풀이란 익명 거래 시장을 뜻한다. 주로 기관투자자들이 대량매매를 할 때 사용한다. 거래소와는 달리 오더북이 존재하지 않으며 거래도 공개되지 않는다. 다만 장 종료 후 거래가 보고되면 거래를 확인할 수는 있다. 대부분의 다크풀 거래는 정해진 가격으로 많은 양의 자산을 거래하는 블록 트레이드 방식으로 이뤄지곤 한다. 장 시작 전 투자자들로부터 매수, 매도 주문을 받은 후 이를 매칭하여 장 종료 후 거래를 하는 방식이다. 다크풀의 장점은 낮은 수수료와 익명성, 현재 시장 가격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

암호화폐/용어 2023.12.22

LST란?

LST란? LST는 Liqudity Staking Token으로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이다. 보통 자산이 특정 플랫에 스테이킹되면 해당 자산은 비유동화되게 되는데 이와 반대로 LST는 스테이킹된 자산을 유동화하여 토큰을 지급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스테이킹 한 자산과 동일한 양의 LST를 받게 되고 이 LST는 다른 프로토콜에서 사용 가능하다. 언스테이킹 시 해당 LST를 사용하면 같은 양의 자산을 받게 되는 방식이다. LST의 주요 매력은 스테이킹을 하면서도 유동성을 잃지 않아 다른 플랫폼에서 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만 LST 사용 시 LST를 잃는 경우 기존의 자산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과 LST와 기존 스테이킹 된 자산 간 가치가 불일치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은 주의해야 하는 점이다.

암호화폐/용어 2023.12.20

인스크립션이란?

인스크립션이란? 인스크립션은 트랜잭션 메시지에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방식의 토큰을 말한다. 기존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하는 토큰들과는 다르게 실제 블록에 토큰의 데이터가 올라간다는 차이점이 있다. 기존 ERC-721, ERC-1155 등은 IPFS 등을 활용하여 토큰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했는데 인스크립션은 실제 블록에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인스크립션은 체인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기본 개념은 동일하다. 인스크립션에는 Deploy, Mint, Trasfer의 동작이 있는데 해당 동작들은 미리 정해진 규격을 따르는 JSON을 트랜잭션에 삽입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인스크립션의 경우 중요한 것은 사회적 합의이다. 정해진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동작하는 게 아니다 보니 누구나 같은 JSON을 트랜잭션에 삽입할..

암호화폐/용어 2023.12.18

YugaLabs co-founder GordonGoner 복귀 암시

YugaLabs co-founder GordonGoner 복귀 암시 건강 상의 문제로 휴직을 했던 YugaLabs co-founder GordonGoner가 최근 복귀를 암시하는 트윗을 올렸다. 그는 그가 휴직한 이후 1년 동안 YugaLabs에서 일어난 일들을 파악하는데 지난 한 달을 보냈으며 YugaLabs가 최근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는 2024년에 대해 압박감이 있지만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고 했다. 최근 YugaLabs가 별다른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건 사실이지만 Co-founder가 복귀한다는 소식은 긍정적으로 보인다. 그의 복귀와 함께 YugaLabs가 내년에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까.

암호화폐/소식 2023.12.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