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65

MRR이란?

MRR이란? MRR은 Monthly Recurring Revenue의 줄임말로 월간 반복 매출을 뜻한다. 주로 SaaS 등의 구독 비즈니스에서 월간 발생하는 매출을 보여주는 데 사용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이다. MRR에 12배를 곱하여 ARR (Anual Recurring Revenue)로 표현하기도 한다. MRR을 통해 반복되는 수익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좀 더 현명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암호화폐/용어 2024.08.28

텔레그램 CEO, 파벨 두로프 파리 공항에서 체포

텔레그램 CEO, 파벨 두로프 파리 공항에서 체포 메신저 앱인 텔레그램 창립자이자 CEO인 파벨 두로프가 파리 외곽의 부르제 공항에서 24일 오후에 긴급 체포되었다. 프랑스 경찰은 텔레그램이 관리 미비로 인해 각종 범죄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점에 예비 조사 차원에서 체포 영장을 받았다고 한다. CEO의 체포 소식과 함께 TON 코인은 약 15%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13년에 서비스가 시작된 텔레그램은 설립 초기 암호화폐 커뮤니티로 사용되다가 메시지가 암호화되어 비밀 대화가 가능하고 보안에 강력하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현재 활성 사용자는 약 9억 명 정도이다.

암호화폐/소식 2024.08.26

스테이킹이란?

스테이킹이란? 스테이킹은 암호화폐를 블록체인에 예치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받는 것을 말한다. 은행에 예금에서 이자를 받는 것과 비슷하다. 예금과의 차이는 예금은 은행이 고객의 자산을 운용하여 얻은 수익을 분배하는 방식이지만 스테이킹의 경우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검증에 사용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지급한다는 점이다. 스테이킹을 통해 블록체인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암호화폐를 보유하면서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스테이킹의 경우 다시 찾으려고 할 때 일정 기간 락이 걸리는 경우도 있으며 해당 암호화폐의 수량은 보존되지만 가치는 더 하락하여 자산 금액 자체는 낮아질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암호화폐/용어 2024.08.23

Liquidity pool(유동성 풀)이란?

Liquidity pool (유동성 풀)이란? 유동성 풀이란 코인 간 교환(스왑)을 위해 유동성이 모여있는 곳을 말한다. 탈중앙화 거래소인 Dex에서는 거래가 P2P로 이뤄진다. P2P로 거래가 빠르게 일어나기 위해선 충분한 유동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Dex에서는 유동성 풀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시장 참가자에게 수수료를 지급한다. 해당 수수료는 유동성 풀을 활용해 코인을 교환한 사용자가 지불한다. 기존의 전통 금융에서는 이러한 유동성 공급을 기관이 담당했지만 Dex에서는 개인도 유동성을 공급하여 수수료를 챙길 수 있다. 유동성을 공급하는 경우 해당 코인의 가격 변동에 의해 영구적인 손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암호화폐/용어 2024.08.21

블록체인 브리지란?

브리지란? 브리지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이 상호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각 블록체인은 자체 프로토콜에 따라 독립적으로 작동 하지만 브리지를 통해 각 블록체인 간 자산 또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제로 브릿지를 사용하면 자산 또는 정보가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출발 블록체에서는 락이 되거나 소각되고 도착 블록체인에서 새롭게 발행되는 방식이다. 브릿지를 통해 각 블록체인은 상호 운용성 및 자산, 정보의 접근성, 유동성 증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암호화폐/용어 2024.08.19

블록체인 노드란?

블록체인 노드란? 블록체인 노드란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를 말한다.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모든 데이터는 각각의 노드에 저장된다. 노드는 컴퓨터, 태블릿, 핸드폰 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것이 노드가 될 수 있다. 노드의 종류에는 블록체인의 모든 거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풀노드, 블록체인의 일부 데이터만 가지고 있는 라이트노드, 채굴만을 위한 채굴노드 등이 있다.

암호화폐/용어 2024.08.16

커버드콜이란?

커버드콜이란? 커버드콜은 주식을 매수하면서 동시에 콜옵션을 매도하여 '옵션 프리미엄'을 안정적으로 얻는 투자방식이다. 콜옵션이란 특정 주식을 특정 가격으로 미래에 살 수 있는 '권리'이다. 옵션 프리미엄은 콜옵션을 매도할 때 받는 금액이다. 커버드콜은 안정적으로 옵션 프리미엄의 수익을 얻어 헷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승장에서는 수익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는 투자방식이다. 예를 들어 현재 삼성전자의 가격이 65,000원인데 한 달 뒤에 삼성전자 1주를 70,000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만들어 1,000원에 판매하고 현재 60,000원에 삼성전자 1주를 구매한다. 한 달 뒤에 삼성전자가 71,000원 이상이라면 콜옵션을 구매한 사람은 옵션을 행사할 것이다. 이 경우 콜옵션 매도자는 옵션 프리미..

암호화폐/용어 2024.08.14

POW(proof of work)란?

POW(proof of work)란? POW(proof of work)는 작업증명으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해시값을 찾는 작업을 특정한 난이도에 수행하고 이를 증명하는 것을 뜻한다. 이 증명은 채굴(mining)을 통해 이루어진다. POW는 블록체인 최초의 증명 방식으로 93년 처음 고안되었고 사토시 나카모토의 논문인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에서 채택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작업증명은 컴퓨팅 파워가 높을수록 채굴할 확률이 올라가지만 그만큼 전기료가 올라간다는 단점이 있다.

암호화폐/용어 2024.08.12

POS(proof of stake)란?

POS(proof of stake)란? POS(proof of stake)는 지분증명으로 더 많은 지분(암호화폐)을 가지고 있을수록 블록에 기록할 권한이 커지는 방식이다. 암호화폐를 가지고 있는 노드들이 합의를 통해 블록에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이때 암호화폐를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데이터를 기록할 권한이 더 많이 주어진다. 암호화폐를 많이 가지는 노드들에 의해 중앙화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들지만 그 정도 보유하려면 POW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더 안전한 편이다. 또한 POW(proof of work) 방식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었던 채굴기로 인한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다만 POS 역시 많은 지분을 가진 노드가 더 많이 가진 권한을 사용하여 공..

암호화폐/용어 2024.08.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