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암호화폐 363

메타마스크, 코인 추가하는 방법

메타마스크, 코인 추가하는 방법 종종 메타마스크 내에 코인을 입금하거나 구매한 코인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입금이 잘못된 경우가 아니라면 메타마스크에 해당 코인을 추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더리움 및 메인넷 코인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코인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수동으로 추가해주어야 한다. 새로운 코인 추가는 메타마스크 내 '토큰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하여 할 수 있다. 새로운 코인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해당 코인의 컨트랙트 주소를 알아야 한다. 이는 코인게코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코인게코에서 해당 코인을 검색하면 상세 페이지에 주소가 뜬다. 예를 들어 Canto 코인을 추가해 보도록 하자. 코인게코에서 'Canto'를 검색하면 계약 주소를 복사할 수 있다. 이를 메타마스크 내 '토큰 가져오..

암호화폐/정보 2023.04.26

메타마스크, 네트워크 추가 방법

메타마스크, 네트워크 추가 방법 처음 메타마스크를 사용하다 보면 이더리움 외 다른 네트워크가 보이지 않는다. 분명 메타마스크가 지원하는 네트워크인데도 그런 경우가 있다. 이때는 수동으로 해당 네트워크를 추가해주어야 한다. 수동으로 네트워크를 추가하기 위해선 메타마스크 내 '네트워크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준다. '네트워크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추가하고 싶은 네트워크가 위의 리스트에 없다면 네트워크 수동 추가를 통해 추가해주어야 한다. 네트워크를 추가하기 위해선 다음의 정보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이름 RPC URL 체인 ID 통화 기호 블록 탐색기 URL 위의 정보는 chainlist를 통해 얻어올 수 있다. 예를들어 Evmos 네트워크를 추가하는 경우라면 검색결과가 다..

암호화폐/정보 2023.04.25

NFT 일일 거래 건수 점차 감소하는 중

NFT 일일 거래 건수 점차 감소하는 중 듄애널리스틱에 따르면 NFT 거래는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 해당 대시보드에 따르면 거래량과 거래 건수, 활성자 사용자수 모두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NFT 마켓플레이스 1등인 오픈씨의 경우 2021년 7월 이후 일일 활성사용자가 1만 명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는데 지난 20일 1만 640명을 기록했다. 블러 역시 같은 날 1777명의 사용자를 기록하며 약 세 달 만에 최저 수치를 보여주었다. 오픈씨와 블러뿐만 아니라 다른 마켓플레이스 역시 감소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 NFT 시장도 좋지 않고 $PEPE, $AIDOGE 등 밈코인 열풍이 불었던 것도 한몫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시 한번 NFT 시장이 활기를 찾아 살아날 수 있을까.

암호화폐/소식 2023.04.24

이더리움 가스비(Gas Fee)란?

이더리움 가스비(Gas Fee)란? 이더리움 블록체인이 구동되기 위해선 블록의 생성, 검증 및 기록을 하는 채굴자들이 필요하다. 이더리움 상에서 이더를 전송하거나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려면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과정을 채굴자들이 실행하고 보상으로 받는 것이 가스비이다. 트랜잭션을 날리는 사용자의 입장에선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본인의 트랜잭션을 기록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수수료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스비는 트랜잭션을 날리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채굴자의 입장에선 가스비가 높은(보상이 높은) 트랜잭션부터 실행하는 것이 이득이기 때문에 트랜잭션이 빨리 실행되길 원하면 그만큼 높은 가스비를 설정하여야 한다. 가스비의 단위는 그웨이(Gwei)로 설정되며 1 ETH는 ..

암호화폐/용어 2023.04.21

국내 거래소 GDAC, 200억원 규모의 해킹 발생

국내 거래소 GDAC, 200억 원 규모의 해킹 발생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GDAC이 200억 규모의 해킹이 당했다고 밝혔고 이는 GDAC 총 보관 자산의 약 23%라고 한다. GDAC의 발표에 따르면 비트코인 약 60개, 이더리움 약 350개, 위믹스 약 1000만 개, 22만 USDT 정도를 해킹당해 탈취당했다고 한다. GDAC은 코인마캣캡 기준 약 200위 정도에 해당하는 거래소이다. 이번 해킹은 GDAC이 핫월렛에 암호화폐를 많이 보관한 게 문제가 되었다. GDAC은 보유중인 비트코인 전량을 핫월렛에 보관했다고 한다. 거래소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다른 중소 거래소에도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GDAC의 발표에 따르면 비트코인 약 60개, 이더리움 약 350개, 위믹스 약 1000만..

암호화폐/소식 2023.04.20

Ordinals protocol이란

Ordinals protocol이란 Ordinals protocol은 지난 1월 21일 비트코인 개발자인 Casey Rodarmor에 의해 개발된 프로토콜로 비트코인의 가장 작은 단위인 '사토시'에 NFT를 저장하는 프로토콜이다. NFT를 위해 많이 쓰이는 이더리움과 다르게 비트코인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하지 않아 NFT를 비롯한 다른 디앱들이 만들어질 수 없는 구조였다. 하지만 Ordinals protocol을 사용하여 비트코인 기반 NFT를 발행할 수 있게 되었다. 비트코인의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 의 경우 2010년 비트코인의 비금융적 활용에 대해 반대 입장은 밝힌 바가 있다. 당시 비트코인에 도메인 주소를 도입하자고 만들어졌던 BitDNS 서비스도 사토시 나카모토의 반대에 의해 개발이 중단되었..

암호화폐/용어 2023.04.19

sei labs 3000만 달러 규모 투자 유치

sei labs 3000만 달러 규모 투자 유치 sei network 개발사인 sei labs가 최근 펀딩 라운드를 통해 3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sei labs는 이번 투자를 통해 sei network를 더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번 투자라운드에는 Jump capital, Distributed Global, Multicoin capital, Asymmetric, Flow traders 등이 참여하였다. 이번 라운드를 통해 sel labs는 8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sei network는 코스모스 SDK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디파이 특화 앱체인이다. 다른 체인들과는 다르게 sei network는 다양한 디앱들이 올라올 수 있는 레이어 1의 성격도 있다. 이러한 중간자 적인 성격..

암호화폐/소식 2023.04.18

Sui network, early supporter 대상 세일 조건 발표

Sui network, early supporter 대상 세일 조건 발표 에어드롭은 없을 거라고 계속해서 얘기했던 sui network가 early supporter 들을 대상으로 한 세일 조건을 발표했다. Capy Holiday 우승자, 챔피언, 커뮤니티 서포터스가 있다. 자세한 조건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위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은 4월 24일 전까지 KuCoin과 OKX 거래소에 계정 등록 및 확인을 완료하고 폼을 제출하면 된다고 한다. 특이한 조건은 아니지만 에어드롭이 아닌 만큼 구매에는 어느 정도 위험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앱토스, 아비트럼 에어드롭은 상당히 달달했는데 Sui는 어떨지 궁금하다.

암호화폐/소식 2023.04.17

슬리피지(Slippage)란?

슬리피지(Slippage)란? 슬리피지란 매수/매도를 할 때 예상한 거래의 가격과 실제로 체결된 가격의 차이를 말한다. AMM, DEX 거래소를 사용하다 보면 종종 발생한다. 보통 거래소의 경우 거래 전 슬리피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슬리피지 허용치(Slippage tolerance)라고 한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거래가 중단되는 경우가 많지만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거래가 진행되어 손해를 많이 보는 경우도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대부분 슬리피지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한다. 낮은 거래량 높은 주문량 가격 변동성 주문 처리 지연 0.1%의 슬리피지만 발생한다고 해도 잦은 거래를 하거나 많은 양을 거래하게 되면 엄청난 양이 될 수 있다. 슬리피지가 반드시 손해를 보게 되는 것은 아니다. 내가..

암호화폐/용어 2023.04.14

WETH란?

WETH란? WETH는 Wrapped ETH이다. 그렇다면 ETH가 존재하는데 왜 WETH가 필요한 것일까? 우리가 이더 또는 ETH라고 부르는 통화는 이더리움 체인 상의 토큰들의 표준인 ERC20이 나오기 전에 나온 토큰이다. 그러다 보니 ERC20 표준을 따르지 않는데 이는 ERC20을 준수하는 이더리움 체인 상의 다른 토큰과 스왑 하는데 지장이 있었다. 이를 위해 ERC20을 따르는 이더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WETH이다. WETH는 ETH와 정확히 1:1 비율을 따른다. ETH는 여러 스왑 서비스에서 사용하거나 WETH 주소로 직접 전송하여 WETH로 스왑 할 수 있다. 다만 ETH를 WETH로 스왑 하거나 WETH를 ETH로 스왑 하는 과정 모두 트랜잭션 가스비가 든다.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ET..

암호화폐/용어 2023.04.13
반응형